hexo는 프로젝트의 환경설정을 루트(/) 폴더의 _config.yml 파일을 통해서 관리합니다. 
각 항목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
Root(/)’s _config.yml
Site
| 1 2 3 4 5 6 7
 | title: 타이틀 subtitle: 서브 타이틀 description: 사이트 설명 author: 제공자  language: 언어 timezone: 지역 시간
 | 
URL
| 1 2 3 4 5 6
 | url: 해당 주소 root: 루트 디렉터리 (서브 디렉터리 지정 가능함) permalink: :year/:month/:day/:title/ 해당 게시물의 페이지 URL주소 형식  permalink_defaults:
 | 
Directory
| 1 2 3 4 5 6 7 8 9
 | source_dir: source public_dir: public tag_dir: tags archive_dir: archives category_dir: categories code_dir: downloads/code i18n_dir: :lang skip_render:
 | 
Writing
|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
 | new_post_name: :title.md   새로운 post의 이름 default_layout: post titlecase: false  external_link: true  filename_case: 0 render_drafts: false post_asset_folder: false relative_link: false future: true highlight: 코드 하이라이트   enable: true   line_number: true   auto_detect: false   tab_replace:
 | 
| 1 2 3 4 5 6 7 8 9
 | sidebar:    bio: 소개     avatar: /images/avatar.jpg  메인 사진     subtitle:    location: Asia/Seoul 지역    social: 소셜 미디어      github:       twitter:
 | 
Theme
Deployment
| 1 2 3 4 5
 | deploy:   type: git   repository: https://github.com/sc372/sc372.github.io.git  Github Page URL   branch: master
 | 
| 1 2
 | disqus_shortname: disqus shortname
 | 
/themes 폴더에도 _config.yml 파일이 있는데 적용된 테마에 적용되는 설정파일이다. 테마 설정 파일은 다음에 살펴볼 예정입니다.
현재 적용되어 있는 테마는 aloha 입니다. 테마 마다 지원하는 플러그인이 있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themes 를 확인하면 각 테마 마다 document가 있습니다.
자주 포스팅을 하려고 마음을 크게먹었습니다. ;숙제 같을까봐서 마음이 불편할 줄 알았는데 하다보니 재미있고 학습에도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.